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웹진

상세페이지
[2025.01]새해 건강다짐, 심장병 위험 줄이는 생활습관

서울아산병원 심장병원 1월 아산심장소식지 [새해 건강다짐, 심장병 위험 줄이는 생활습관]

새해를 맞아 올해도 어김없이 건강 계획을 세운다.
‘심장병 위험을 줄이는 생활습관’ 이지만 ‘건강습관’ 이라고 해도 무방하다. 생활습관을 인지하고 기존의 습관을 한번에 바꾼다는 다짐보다 현실 문제를 직시하고 꾸준한 관심과 실천하려는 노력이 중요하다.

 

심장질환은 우리나라의 주요 사망 원인 2위로, 암 다음으로 두 번째로 높은 사망 원인이다.(통계청, 사망원인 통계, 2023년) 심장질환이 증가한 이유는 고령화와 서구식 식습관으로 인한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같은 만성질환 증가와 운동 부족, 비만, 스트레스, 흡연 등의 원인 때문이다. 성인병 질환이 노화와 함께 나타나는 노인병의 개념으로 알고 있기도 하지만, 발병 원인과 여러 위험인자들이 밝혀지면서 일상생활의 여러 가지 나쁜 습관들과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심장질환은 습관 교정을 통한 건강한 생활습관을 가짐으로써 어느 정도 예방이 가능하다. 대표적인 ‘생활습관질환’은 고혈압, 당뇨병, 심장혈관질환을 포함한 다양한 혈관질환, 그리고 암까지 포함할 수 있다.

 

심장병 고위험군에 속하는 대상자들은 생활습관을 개선하고 필요시 약물치료를 하며 위험인자를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위험인자는 크게 연령, 성별, 가족력 등 조절이 불가능한 요인과 음주, 흡연,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비만, 운동 부족 등 충분히 조절 가능한 요인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조절이 가능한 위험인자 개선을 위한 생활습관 관리를 짚어보고자 한다.

 

2022년 미국심장학회에서 발표한 심혈관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8대 핵심적인 생활습관’ 관리는 심혈관 건강을 개선하고 유지하여 심장병, 뇌졸중, 다른 주요 건강 문제의 위험을 낮추는데 크게 도움이 될 것이다.

 

img01

 

건강한 식습관?

영양가 높은 비가공식품으로 구성된 건강하고 균형 잡힌 식단을 한다.
채소, 과일, 콩류, 견과류, 통곡물, 기름기 적은 단백질, 생선 섭취가 권장되며 콜레스테롤과 나트륨의 섭취를 줄이도록 한다. 트랜스지방, 가공육, 정제된 탄수화물, 단 음료의 섭취는 최소화해야 한다.

 

규칙적인 운동

성인들은 일주일에 2시간 이상 중간 강도, 또는 75분 이상의 격렬한 신체 활동을 해야 한다.
신체 활동은 혈액 순환을 개선하고, 체중 조절에 도움을 주며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전반적인 심장 건강에 긍적적인 효과를 준다.

 

금연

전자담배를 포함한 니코틴을 흡입하는 모든 담배의 사용은 심장병 발생을 증가시킨다. 흡연자의 심근경색증, 뇌졸중 발생 비율은 비흡연자의 2배이고, 금연 후 1년이 지나면 심혈관질환의 발생 위험이 절반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건강한 수면

대부분의 성인은 하루 7~9시간의 수면이 필요하다. 적절한 수면은 치유를 촉진하고, 뇌 기능을 향상시키며, 만성질환의 위험을 감소시킨다.

 

체중 관리

건강한 체중을 유지하는 것은 신체 기능을 최적화하고 일상 활동을 수월하게 한다. 저체중은 영양 실조와 면역체계 약화를 초래할 수 있고, 비만은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과 같은 다양한 건강 문제와 연관되어 있다. 체질량지수로 계산하는 것이 권장되며 허리둘레 측정하여 관리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체중 조절의 기본은 운동과 식사가 기본이며, 비만이거나 심혈관계 합병증이나 수면 무호흡증이 동반된 과체중에서는 약물 치료를 병행할 수 있다.

 

콜레스테롤 관리

나쁜 콜레스테롤(non-HDL)이 지나치게 많은 경우, 혈관에 쌓여 결국 혈관을 막기도 한다. 총 콜레스테롤보다는 나쁜 콜레스테롤을 정기적으로 추적하는 것이 권고된다. 식습관 개선, 체중 관리 등 비약물 요법을 시행해 보고 약물 치료를 시작할 수 있다.

 

혈당 관리

높은 혈당을 유지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심장, 신장, 눈과 신경을 손상시킬 수 있다. 혈당을 추적하는 방법으로는 당화혈색소를 확인하는 것을 권고하는데 이는 당뇨병이나 당뇨병 전단계에 있는 사람들의 장기적인 조절 정도를 더 잘 반영하기 때문이다.

 

혈압 관리

고혈압으로 인한 심각한 합병증으로 협심증, 심근경색증, 심부전증, 대동맥박리 등 여러 심장병이 있고 뇌졸중, 신부전증, 망막질환까지 생길 수 있다. 고혈압 관리를 위해 저염식은 기본이고, 운동, 금연, 절주도 혈압 조절에 중요한 요소이다. 혈압을 정상 범위로 유지하기 위해 약물치료는 반드시 처방을 따라야 한다.

 

검증되지 않은 민간요법이나 건강기능식품에 의존하면 예상하지 못하는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건강한 심장과 함께하는 앞으로의 삶을 위해 생활습관을 준수하고, 더불어 정기적인 건강검진도 필요하다.

 

※ 자료출처
Donald M. Lloyd-Jones, MD, et al. Life’s Essential 8: Updating and Enhancing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s Construct of Cardiovascular Health: A Presidential Advisory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Circulation. 2022;146(5): e18-e43, doi: 10.1161/CIR.0000000000001078

서울아산병원 심장병원 아산심장소식지

  • 현재 페이지를 트위터로 공유하기
  • 현재 페이지를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 현재 페이지를 이메일로 공유하기
  • 현재 페이지를 인쇄하기
페이지 처음으로 이동
05505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43길 88 서울아산병원
TEL 1688-7575 webmaster@amc.seoul.kr
Copyright@2014 by Asan Medical Center. All Rights reserved.
  • 바로가기
  • 바로가기
  • 바로가기
  • 바로가기
  • 서울아산병원, 18년 연속 존경받는 병원 1위
  • 서울아산병원, 美 뉴스위크 평가 세계 22위·국내 1위
  • 서울아산병원, 정보보호 관리체계 ISMS 인증 획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