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환백과
- 정의
- 신경은 크게 중추신경과 말초신경으로 나뉩니다. 척수에서 나뉘는 말초신경 줄기 중에서 척수 접합부를 신경근이라고 합니다. 이 신경근은 얇은 막으로 보호되어 있기 때문에, 디스크 등에 의해 쉽게 압박됩니다. 이러한 신경근이 만성적으로 손상을 받으면 말초에 통증을 유발하게 되며, 이를 신경근병증이라고 합니다. 신경근병증은 보통 30~50세에게 많이 일어납니다.  
- 원인
- 대부분의 신경근병증은 추간판 질환(디스크)에 의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아직까지 신경근 압박과 그로 인한 방사통의 발생에 관한 병태 생리학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상태입니다. - 추간판 탈출은 척수 신경을 직접 압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요추의 추간판 탈출은 바로 아래 분절의 신경근을 가장 심하게 압박합니다. 또한 척추강직증, 척추앞굽음증과 같은 퇴행성 척추 질환에 의해서도 신경근병증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 증상
- 신경근병증의 대표적인 증상은 방사통입니다. 이는 팔이나 다리 끝으로 뻗치는 듯한 통증을 말하는데, 통증이 해당하는 신경 분절을 따라 퍼지는 양상을 보입니다. 이 통증은 간혹 대상포진 후 신경통과 유사한 양상을 보이기도 합니다. 
- 진단
- 척추 X-ray 검사와 자기공명영상(MRI) 검사를 통해 신경계 이상과 척수 및 신경근 압박 부위를 확인합니다. 근전도 검사를 통해 손상된 신경근의 위치와 손상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치료
- 신경근병증 환자는 물리치료, 진통제, 근육 이완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경막 외 신경 차단술, 후관절 주사, 고주파 신경근 차단술, 단기간의 침상 안정 등의 비수술적 치료로 호전됩니다. 그러나 장기간 심한 통증이 지속되거나, 대장과 방광 기능의 손실과 같은 신경계 이상 징후가 동반되는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합니다. 
- 경과
- 추간판 탈출로 인한 신경근병증은 추간판 탈출증을 치료, 관리하면 완화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통증이 심하고 척수 자체에 기능 저하가 발생한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 신경계
- 서울아산병원
서울아산병원은 신뢰도 있는 건강정보 콘텐츠를 제공하여 더 건강한 사회 만들기에 도움이 되고자 합니다.콘텐츠 제공 문의하기





















